본문 바로가기
제도 및 정책

2022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소득기준 및 자격, 지원금액

by 히히o호호 2022. 8. 15.

 

아기를 출산하기 전, 예비 엄마아빠는 준비할 것이 참 많죠~

그 중 필수로 준비해야할 것 중 하나가 바로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신청이예요!

보건소에 미리 신청하고 직접 업체 예약까지 해두어야 출산 후에 바로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답니다. ^^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서비스 내용, 지원대상(소득기준) 및 지원금액까지 알아보겠습니다!

다음 포스팅으로는 인터넷 신청방법도 정리해볼게요 :)

 

1. 2022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서비스 내용

정확한 정부 정책이름은 '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'입니다.

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 첫째는 2주, 둘째부터는 3주를 기본으로 지원해주네요 :)

출처 : 복지로 홈페이지(www.bokjiro.go.kr)

 

그렇다면 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지원대상은 어떻게 될까요?

 

2. 지원대상 (소득기준★)

기본적으로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을 지원하고 있고요.

차상위계층이 아니더라도 산모 및 배우자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전국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%에 해당하는 출산가정을 지원합니다. 

중위소득 150% 이러면 우리는 알 수가 없죠.. 제가 딱 말씀드릴게요!

>>2인가구 기준 - 월소득 489만원, 3인가구 기준 - 월소득 629만원, 4인가구 기준 - 월소득 768만원 (2022년 기준, 세전)

맞벌이일 경우 부부합산소득인 점, 잊지마세요! 

 

[참고] 2022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 기준표

출처: 다복다복 (http://gwssf.or.kr/document/info16)

만약 가구소득이150% 초과 될랑말랑한다 or 초과된다해도 일단 신청해보세요!

신청하면 담당자가 직접 자격심사해서 결과 통보해주더라고요^^

 

3. 지원금액 (정부지원금+지역구 지원금)

지원금액은 소득에 따라 다릅니다. 소득구간에 따라 유형을 달리 설정해서 지원금이 결정됩니다.

저는 첫째 때 산후도우미가 너무 큰 도움이 되었어서 이번에 신청할때는 연장기준 20일(한달!) 신청했는데요~

둘째아 기준+중위소득 150%초과일 경우, 4주(20일)를 쓴다고 하면 (A-라-②형)

서비스 요금 249.6만원에서 정부지원금은 123.6만원 즉 본인부담금은 249.6만원 - 123.6만원 = 126만원 입니다

 

여기에 지역시/군/구에 따라 추가로 지원되는 금액이 있어요~~

지역구별 지원내용은 일단 신청해서 자격조건이 되면 담당자가 상세하게 안내해주실겁니다^^

저는 서울시 영등포구 기준으로 구비지원 71만원이 추가되어 최종적으로 제가 부담하는 금액은 55만원이 되었습니다.

9 to 6 출퇴근하시는 이모님을 월 55만원에 한 달간 모실 수 있다니 너무너무 좋은거있죠! 

출처 : 복지로 홈페이지(www.bokjiro.go.kr)

그렇다면, 신청방법은 어떻게 될까요?

지역구 보건소에 방문하셔서 직접 신청하는 방법이 있고요~

인터넷으로 신청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. 다음 포스팅으로 인터넷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!

 

한눈에 보는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신청방법 1탄! - 인터넷 신청

 

한눈에 보는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신청방법 1탄! - 인터넷 신청

출산 전, 우리 아기와 행복한 육아를 위해 꼭 알아보고 준비해야할 "정부지원 산후도우미". 지난 포스팅에서는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소득조건 및 지원금액을 알아보았습니다. 궁금하신 분들은

heheohoho.tistory.com

 

댓글